메뉴 건너뛰기

턱관절

RIGHT THINKING RIGHT TREATMENT

턱관절

저작계를 구성하는 턱관절과 저작근(음식을 씹을 때 사용하는 근육)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 및 기능제한 그리고 기타 제반 현상을 포함하는
구강안면통증장애의 하나 입니다.
두통을 포함한 두경부 통증장애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측두하악장애라 부릅니다.

턱관절 장애의 증상

턱기능 시 통증
기능 장애
(개구제한 저작장애 등)
관절음
두통
기타
(이명, 교합변화 등)

턱관절 장애의 원인

턱관절장애는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고, 대부분의 경우 절대적인 특정 원인에 의해 발병한다기 보단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질환의 원인이 뚜렷한 감염성 질환들과 달리 절대적인 원인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임상적으로 관련해서 턱관절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여러 가지 기여요인들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미 턱관절장애가 발생한 환자에서도 이러한 기여요인 존재 유무를 평가하여 이를 조절하는 것도 치료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생물학적 요인
  • 유적 소인
  • 외상
  • 골격부조화
  • 부정교합
  • 영양부족
  • 류마티스성 질환
  • 내분비변화 (갑상선 또는 여성호르몬)
행동요인
  • 수면 이갈이
  • 이 악물기
  • 머리 목의 나쁜 자세
  • 수면습관
  • 수면자세
  • 작업습관 불량
  • 불량한 식습관
정서적 요인
  • 과도한 스트레스
  • 우울
  • 불안
  • 절망



부정교합과 턱관절 장애

턱관절 장애를 일으키는 절대적인 원인으로, 부정교합(치아 맞물림이 나쁜 경우)이 지목되었던 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턱관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광범위한 보철치료나 교정치료를 시행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에 많은 의문과 문제점들이 발생하였습니다.
1988년 11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주최한 두 개하악장애 워크샵에 모인 세계적인 구강안면통증 전문가들과 석학들이 턱관절장애와 부정교합간의 관계에 대한 재평가 이후부터, “부정교합이 주요한 기여요인에 속하지만, 턱관절장애의 절대적인 원인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 드리자면, 부정교합은 턱관절 장애를 일으키는 절대적인 원인은 아니며, 턱관절 장애를 일으키는 많은 기여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턱관절 장애 유병율은?

턱관절 장애 유병율은? 여러 가지 연구에 따라 그 정도가 다양하나 인구의 약75%는 일생 동안 한가지 이상의 증상을 경험합니다.
가장 흔히 경험하는 증상은 관절음으로 소아에서는 7.8%, 7세-20세 사이는 약 20%로 관절음이 관찰됩니다.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대에서 30대로 갈수록 증상의 발현빈도와 심도가 증가합니다.
턱관절장애를 가진 남녀환자간의 비율은 1:3~1:9로 여성에서 호발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증상을 경험한다 하더라도, 대부분 그 증상이 한정적인 경우가 많으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인구의 대략 5%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는 다 같다!

턱관절장애라고 부르는 측두하악장애는 저작계의 장애를 총칭하는 포괄적인 진단명으로 많은 세부적인 분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가호소하는 증상이 유사하더라 하더라도, 세부 진단에 따라 치료의 방법, 치료기간, 치료비용, 치료 후 예후가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전문가에 의해 정확한 진단과 평가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관절 내 장애
  • 관절원판변위 (턱관절 디스크)
  • 정복성관절원판변위
  • 비정복성관절원판변위
  • 인대의 염증성장애
  •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
  • 유착과 강직
근육장애
  • 국소군육통
  • 근막통증
  • 근경력
  • 근경축
  • 근염
  • 섬유근통
© k2s0o2d0e0s1i0g1n. ALL RIGHTS RESERVED.